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및 관련주 정리

중국 탄산리튬 가격 급등 및 전기차 판매량, 국내 이차전지 투자전망

by 화유09 2023. 6. 9.
반응형

탄산리튬 가격동향

국가별 리튬 매장량 순위(2022)

  1. 볼리비아 (2100만 톤)
  2. 아르헨티나 (2000만 톤)
  3. 칠레 (1100만 톤)
  4. 중국 (180만 톤)
  5. 미국 (120만 톤)
  6. 호주 (790만 톤)
  7. 베트남 (600만 톤)
  8. 잠비아 (250만 톤)
  9. 짐바브웨 (150만 톤)
  10. 러시아 (100만 톤)

볼리비아는 세계 최대의 리튬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와 칠레도 세계에서 많은 리튬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리튬 생산량이 가장 많지만, 매장량은 많지 않습니다. 미국, 호주, 베트남, 잠비아, 짐바브웨, 러시아도 리튬 매장량이 있습니다.

 

중국 내 리튬 생산량

2022년 기준 중국의 리튬 매장량은 약 180만 톤으로 세계 4위입니다. 중국은 칠레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리튬 생산국이기도 합니다. 중국은 리튬 채굴, 정제, 가공 및 배터리 제조에 이르기까지 리튬 공급망의 전 과정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전기차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리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리튬 공급을 통제함으로써 전기차 산업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리튬 광산 지분

2022년 기준으로 중국은 전 세계 리튬 광산 지분의 약 5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리튬 채굴의 경우 약 20%, 리튬 가공 소재화의 경우 2/3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리튬 채굴의 경우 중국 내 리튬 개발이 약 20%, 나머지 30%는 서호주 리튬 광산과 칠레, 아르헨티나 리튬 광산 지분 투자를 통해 확보한 것입니다. 리튬 가공 소재화의 경우 중국은 전 세계 리튬 생산량의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리튬 공급망 장악은 전기차 수요 증가에 따라 리튬 가격이 급등하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현재, 중국 탄산리튬 가격이 한달 새 71%씩이나 급등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중국 내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판매 증가 등 배터리 업황 회복
  • 배터리 수출 증가도 탄산리튬 가격회복에 영향
  • 중국당국의 불법채굴단속에 따른 리튬 수급 및 가격조절
 

배터리 핵심원료 中 탄산리튬 가격, 급락 뒤 한달 새 71% 반등 | 연합뉴스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전기차용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서 올해 들어 급락했던 중국의 탄산리튬 가격이 수요 회복과 당국의 수급 조절의 ...

www.yna.co.kr

반응형

중국 시장 내 전기차 판매량

2022년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655만8천대로 전년(332만7천대) 대비 97.1% 성장했습니다. 중국은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53%를 차지하며,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입니다.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정부의 보조금 정책과 전기차 보급 인프라의 확충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2035년까지 전기차 판매량을 전체 신차 판매량의 50%로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 2차전지 투자 전망

 

테슬라 고공행진에 2차전지 '훈풍'…1조 투자유치도 호재

테슬라 주가가 최근 10일 연속 강세를 지속,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자 2차전지 업계에도 훈풍이 이어지고 있다. 9일 오전 9시 10분 현재 에코프로는 전날보다 2만8000원, 4.26% 오른 68만6000원에 거래되

n.news.naver.com

반응형